1. 먼저 10 天干(천간)을 알아야 한다.
천 간 :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오 행 : 木 木 火 火 土 土 金 金 水 水
음 양 :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양 음
2. 다음으로 12 地支(지지)를 알아야 한다.
지 지 :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오 행 : 水 土 木 木 土 火 火 土 金 金 土 水
음 양 : 음 음 양 음 양 양 음 음 양 음 양 양
3. 60甲子(갑자)의 구성원리를 알아야 한다.
위에서 밝힌 바와 같이 천간과 지지를 짝지어 돌리면 60갑자가 된다. 이때에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의 10천간은 그대로 두고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의 12지지만 차례대로 돌리면 60갑자가 된다. 萬歲曆(만세력)은 60갑자에 의하여 만들어져 있고 萬歲曆(만세력)을 통하여 생년월일시의 네기둥을 세울 수 있다.
4. 그러면 生年月日時(생년월일시)에서 네기둥을 세워 보기로 하자
태어난 해를 年主(년주), 생일달을 月柱(월주), 생일날을 日柱(일주), 태어난시간을 時柱(시주)라 한다. 예를들어 음력으로 2000년 7월 6일 14시 45분 서울에서 출생한 생년월일시의 네기둥을 세워 보자.
생년월일시 2000년 7월 6일 14시 45분 (음력)
천간 庚 癸 乙 癸
지지 辰 未 未 未
(년주) (월주) (일주) (시주)
年主(년주)세우기 : 萬歲曆(만세력)을 보면 2000년은 庚辰年(경진년)이 된다. 여기에서 주의할 것은 1月節(월절)인 立春(입춘)이 지나야 庚辰年(경진년)이 되고 立春(입춘)이 지나지 않았으면 庚辰年(경진년)이 아니라 己卯年(기묘년)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年主(년주)는 庚辰(경진)이 된다.
月柱(월주)세우기 : 立秋(입추)인 7월 8일 04시 06분이 지나야 7月節(월절)인 甲申月(갑신월)이 되는데, 立秋(입추)가 아직 안되어서 6月節(월절)인 癸未月(계미월)이 된다. 그러므로 月柱(월주)는 癸未(계미)가 된다.
日柱(일주)세우기 : 7월 6일 日辰(일진)이 乙未日(을미일)이기 때문에 乙未(을미)를 그대로 쓰면 된다.
時柱(시주)세우기 : 서울기준 14시 45분이면 未時(미시)가 되므로 時天干(시천간)을 붙이면 癸未時(계미시)가 되므로 時柱(시주)는 癸未(계미)가 된다.